볼일을 보고 난 뒤에야 화장지가 없다는 걸 알게 되는 상황을 없애고 싶다. 당연하겠지만 나는 매일 화장실을 가기에 그곳에서 불편한 점을 느끼는 일이 잦았고 비록 우리가 생각하는 화장지가 없어 일어날 수 있는 최악의 상황을 경험하진 않았지만 화장실에 화장지가 없어 불편한 경험을 몇 번 겪어봤기에 자연스레 이 문제를 고치고 싶어졌다.
화장지가 없다는 걸 문 밖에서도 알 수 있으면 좋을 것 같았다. 화장지의 무게에 따라 알림이 가서 화장지가 없을 때 화장실 문 밖에 표시가 생기면 좋겠다. 화장지의 무게와 눌림을 활용하고 싶다.
어떻게 작동하나요? 화장지가 없다는 것을 미리 알 수 있어 볼일을 다 보고 나서야 화장지가 없다는 걸 눈치채는 불상사를 어느 정도 막을 수 있다. 더불어 화장실을 청소하는 입장에서도 한눈에 어느 칸에 얼마나 화장지가 없는지 알 수 있어 화장실 청소를 효율적으로 할 수 있다.
(구상중) 마지막으로, 화장실 칸마다 휴지 없음 알림을 보내는 횟수를 세어 비교적 알림이 간 횟수가 적은 칸은 고장이 났거나 어딘가 불편할 확률이 높기 때문에 전반적인 관리에도 편하게 이용할 수 있을 것 같다.
평소에는 화장지의 무게 때문에 버튼이 눌려 알림이 가지 않지만 화장지가 없어 무게가 일정 수준 이하로 떨어지면 버튼이 눌리지 않게 되면서 화장실 문에 설치한 스크린에 알림이 가서 화장지가 없다는 메세지를 띄우는 시스템이다.
프로젝트 이미지
심사위원 코멘트
화장실에서 화장지가 부족한 상황을 예방하기 위해 설계된 이 프로젝트는 사용자 편의성과 관리 효율성을 동시에 개선하는 창의적인 아이디어가 돋보입니다. 화장지의 무게를 감지하는 센서를 활용해 일정 무게 이하일 경우 화장실 문 밖 스크린에 알림을 표시하는 시스템은 실용적이고 직관적입니다. 이 시스템은 사용자에게 불편한 상황을 사전에 방지할 뿐 아니라, 화장실 관리자가 부족한 화장지를 신속하게 파악하고 보충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또한, 알림 횟수를 추적해 특정 칸의 문제를 진단하는 기능은 화장실 전반의 유지관리 효율성을 높이며, 일상적인 문제를 기술로 해결하는 실질적인 접근으로 평가됩니다.
보평고등학교 / 이지윤
SDG 3. 건강과 웰빙
어떤 프로젝트 인가요?
볼일을 보고 난 뒤에야 화장지가 없다는 걸 알게 되는 상황을 없애고 싶다.
당연하겠지만 나는 매일 화장실을 가기에 그곳에서 불편한 점을 느끼는 일이 잦았고 비록 우리가 생각하는 화장지가 없어 일어날 수 있는 최악의 상황을 경험하진 않았지만 화장실에 화장지가 없어 불편한 경험을 몇 번 겪어봤기에 자연스레 이 문제를 고치고 싶어졌다.
화장지가 없다는 걸 문 밖에서도 알 수 있으면 좋을 것 같았다.
화장지의 무게에 따라 알림이 가서 화장지가 없을 때 화장실 문 밖에
표시가 생기면 좋겠다. 화장지의 무게와 눌림을 활용하고 싶다.
어떻게 작동하나요?
화장지가 없다는 것을 미리 알 수 있어 볼일을 다 보고 나서야 화장지가 없다는 걸 눈치채는 불상사를 어느 정도 막을 수 있다. 더불어 화장실을 청소하는 입장에서도 한눈에 어느 칸에 얼마나 화장지가 없는지 알 수 있어 화장실 청소를 효율적으로 할 수 있다.
(구상중) 마지막으로, 화장실 칸마다 휴지 없음 알림을 보내는 횟수를 세어 비교적 알림이 간 횟수가 적은 칸은 고장이 났거나 어딘가 불편할 확률이 높기 때문에 전반적인 관리에도 편하게 이용할 수 있을 것 같다.
평소에는 화장지의 무게 때문에 버튼이 눌려 알림이 가지 않지만 화장지가 없어 무게가 일정 수준 이하로 떨어지면 버튼이 눌리지 않게 되면서 화장실 문에 설치한 스크린에 알림이 가서 화장지가 없다는 메세지를 띄우는 시스템이다.
프로젝트 이미지
심사위원 코멘트
화장실에서 화장지가 부족한 상황을 예방하기 위해 설계된 이 프로젝트는 사용자 편의성과 관리 효율성을 동시에 개선하는 창의적인 아이디어가 돋보입니다. 화장지의 무게를 감지하는 센서를 활용해 일정 무게 이하일 경우 화장실 문 밖 스크린에 알림을 표시하는 시스템은 실용적이고 직관적입니다. 이 시스템은 사용자에게 불편한 상황을 사전에 방지할 뿐 아니라, 화장실 관리자가 부족한 화장지를 신속하게 파악하고 보충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또한, 알림 횟수를 추적해 특정 칸의 문제를 진단하는 기능은 화장실 전반의 유지관리 효율성을 높이며, 일상적인 문제를 기술로 해결하는 실질적인 접근으로 평가됩니다.
프로토타입 부문 / 고등 1-3학년
지도 교육자 : 오혜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