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현동초등학교 / 김태린
SDG 13. 기후위기 대응

어떤 프로젝트인가요?
UN 지속가능발전목표 13번 기후행동을 공부 하면서 물이 부족한 나라(사우디아라비아, 싱가포르, 케냐 등…)에 대해 알게되었습니다.
물이 부족한 나라를 돕기 위해서 물을 아껴 써야 하고 나부터 실천 해야겠다는 생각을 했습니다.
양치컵을 사용하지 않아 물을 낭비하는 경우를 많이 보았습니다.
양치컵을 꼭 사용하게 하기 위해서 칫솔을 양치컵에 부착하여 양치컵을 사용했을 때만
칫솔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스마트양치컵을 생각 하게 되었습니다.
어떻게 작동하나요?
스마트 양치컵은 양치컵을 사용하지 않는 사람들도 컵을 사용하게끔 만들 수 있습니다.
컵을 사용하면 물을 틀어 놓지 않아 생활속에서도 물을 아껴쓸 수 있습니다.
스마트 양치컵에 물을 받을 때만 잠금장치가 풀려서 칫솔을 사용할 수 있다면 사람들이 컵을 사용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물 높이 센서가 물의 높이를 측정하여 물이 담겼을 때 모터로 된 잠금장치가 열립니다.
이 프로젝트는 사회에 어떤 도움을 줄 수 있나요?
이 스마트 양치컵을 사용하면 양치질을 때 물을 절약할 수 있습니다.
프로젝트 영상
프로젝트 이미지


코딩과 창작 부문 (프로토타입 제작) / 초등 4-6학년 (만 10-12세)
지도 교육자 : 송윤임 교사
현동초등학교 / 김태린
SDG 13. 기후위기 대응
어떤 프로젝트인가요?
UN 지속가능발전목표 13번 기후행동을 공부 하면서 물이 부족한 나라(사우디아라비아, 싱가포르, 케냐 등…)에 대해 알게되었습니다.
물이 부족한 나라를 돕기 위해서 물을 아껴 써야 하고 나부터 실천 해야겠다는 생각을 했습니다.
양치컵을 사용하지 않아 물을 낭비하는 경우를 많이 보았습니다.
양치컵을 꼭 사용하게 하기 위해서 칫솔을 양치컵에 부착하여 양치컵을 사용했을 때만
칫솔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스마트양치컵을 생각 하게 되었습니다.
어떻게 작동하나요?
스마트 양치컵은 양치컵을 사용하지 않는 사람들도 컵을 사용하게끔 만들 수 있습니다.
컵을 사용하면 물을 틀어 놓지 않아 생활속에서도 물을 아껴쓸 수 있습니다.
스마트 양치컵에 물을 받을 때만 잠금장치가 풀려서 칫솔을 사용할 수 있다면 사람들이 컵을 사용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물 높이 센서가 물의 높이를 측정하여 물이 담겼을 때 모터로 된 잠금장치가 열립니다.
이 프로젝트는 사회에 어떤 도움을 줄 수 있나요?
이 스마트 양치컵을 사용하면 양치질을 때 물을 절약할 수 있습니다.
프로젝트 영상
프로젝트 이미지
코딩과 창작 부문 (프로토타입 제작) / 초등 4-6학년 (만 10-12세)
지도 교육자 : 송윤임 교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