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선중학교 / 김민서
SDG 9. 산업, 혁신과 사회기반시설 / SDG 13. 기후위기 대응


어떤 프로젝트인가요?
저는 환경 문제와 몸이 불편한 사회적 약자들을 위한 문제를 해결하고 싶습니다.
평소에 책상에 앉아 공부를 할 때면, 어두운 방 안에서 불을 켜고 싶은데 전등 스위치가 책상과 멀리 떨어져 있어 평소 불편함을 겪었습니다.
저는 이 불편함을 겪은 후, 저는 단지 귀찮음으로 인한 불편함이었지만 몸을 스스로 관리하기 힘들거나 거동에 불편함이 있는 사람들에게는
더욱 더 불편하고 힘든 일일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또한, 실수로 전등을 켜고 다른 일을 하게 되면 그에 따른 불필요한 에너지 소비량으로 인해 환경 문제에도 영향을 줄 수 있겠다는 생각을 하게 되어
이 문제에 관심이 생기게 되었습니다. 그리하여 저는 자동으로 불을 끄고 켤 수 있는 전등을 생각하게 되었습니다.
어떻게 작동하나요?
저의 프로젝트 아이디어는 굳이 수고를 들이지 않고서 단지 불을 켤 때 사용되는 에너지를 줄이면서 환경 문제에도 큰 도움을 줍니다.
또한, 몸을 움직이는 것이 불편한 사회적 약자들에게는 자동으로 불을 켜고 끔으로써 몸을 움직여야 한다는 수고를 줄여주며 문제 해결에 도움을 줍니다.
이 프로젝트는 일정한 빛 밝기가 어두워질 때면 센서로 빛 밝기를 감지하고 그에 맞게 LED 불을 켜서 불을 켠 후,
일정한 기준만큼에서 빛의 밝기가 높아진다면 LED 불을 끄는 원리로 진행됩니다.
사용 방법은 이 프로젝트를 전등에 적용시켜서 사용하는 방법으로 LED를 활용해 전등의 밝기 조절이 가능합니다.
또한, 전등을 켤 때엔 글자로 ON, 끌 때에는 OFF 라는 글자를 띄웁니다.
프로젝트 이미지

프로토타입 / 중등 1-3학년
지도 교육자 : 고기식
영선중학교 / 김민서
SDG 9. 산업, 혁신과 사회기반시설 / SDG 13. 기후위기 대응
어떤 프로젝트인가요?
평소에 책상에 앉아 공부를 할 때면, 어두운 방 안에서 불을 켜고 싶은데 전등 스위치가 책상과 멀리 떨어져 있어 평소 불편함을 겪었습니다.
어떻게 작동하나요?
저의 프로젝트 아이디어는 굳이 수고를 들이지 않고서 단지 불을 켤 때 사용되는 에너지를 줄이면서 환경 문제에도 큰 도움을 줍니다.
또한, 몸을 움직이는 것이 불편한 사회적 약자들에게는 자동으로 불을 켜고 끔으로써 몸을 움직여야 한다는 수고를 줄여주며 문제 해결에 도움을 줍니다.
프로젝트 이미지
프로토타입 / 중등 1-3학년
지도 교육자 : 고기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