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양습도 센서로 척박한 땅의 문제를 해결한 토질분석을 통해 심을 흙 찾기

김포공유학교 / 정시윤, 이동준 

SDG 15. 육상 생태계 보존


어떤 프로젝트 인가요? 

땅이 척박해서 농작물을 심을 수 없는 문제
지구온난화로 비가 내리지 않는 땅이 많다고 기사에서 본 적이 있기 때문
토양습도 센서를 이용해서 젖은 흙인지 마른 흙인지 OLED에 바 형태로 표시합니다.


어떻게 작동하나요?

농작물을 많이 심어 기아 문제까지 해결할 수 있습니다.
토양습도센서를 흙에 넣으면 흙에 있는 수분 정도를 바 형태로 나타냅니다.


프로젝트 이미지


심사위원 코멘트

마이크로비트와 허스키랜지를 활용해 토지의 수분을 측정하는 아이디어를 도출한 점이 돋보입니다. 향후 수분의 정도를 조금 더 정교하게 표현하는 형태로 발전시킨다면 더욱 활용도가 높아질 것으로 기대됩니다.




프로토타입 부문 / 초등 4-6학년
지도 교육자 : 안혜원 

(재)스마일게이트 희망스튜디오 퓨처랩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판교로 344
(삼평동, 스마일게이트 캠퍼스 B1층 13493)

대표자명 권혁빈
사업자번호 114-82-10652
문의 future@smilegate.com

 


Copyright ⓒ 2024 Future Learning Collective All rights reserved.

(재)스마일게이트 퓨처랩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판교로 344
(삼평동, 스마일게이트 캠퍼스 B1층 13493)

 


대표자명  권혁빈
사업자번호  114-82-10652
문의  future@smilegate.com


Copyright ⓒ 2024 Future Learning Collective All rights reserved.